지열 냉난방 시스템
지엔원에너지의 지열 냉난방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산업통상부에서 제정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에는
지열에너지를 재생에너지의 하나로 지정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규칙에 ‘지열에너지
설비: 물, 지하수 및 지하의 열 등의 온도차를 변환시켜 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지열에너지는 날씨나 기후조건과 관계없이 개발 및 활용이 가능하므로 재생에너지원 중에서 유일하게 기저부하를(Base load)를 담당하며, 부하 조건에 맞게 출력조절이 쉬운 운전 특정을 갖음
땅속 10m 이하에 연중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중 온도(보통 15 ± 5 ℃)를 이용하여 히트펌프와 함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여 냉방, 난방 및 급탕에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경제성을 높인 친환경 냉난방 시스템입니다. 지열 냉난방 시스템은 지열을 추출하거나, 실내에서 추출한 열을 지중으로 방열하기 위해 지중에 설치된 순환회로를 이용하여 지중에서 지열을 흡수 또는 방열합니다. 또한 미국 환경보호국(EPA)에서 공인한 가장 효율적, 환경친화적 냉난방 시스템입니다.
지열냉난방시스템에서 지하수를 직접이용하는 개방형 시스템이 효율면에서 우수하나, 모든 곳에서 필요한 수량의 지하수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지하수 보호를 위해 지하수를 직접이용하는 것을 금하기도 한다. 밀폐형 시스템은 열원으로 지중에 저장되어 있는 지중열을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HDPE 재질 등의 파이프를 지중에 매설한 뒤 폐회로 시스템을 구성 후, 내부에 유체를 충전하고 순환유체가 열교환을 하도록 하여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여 냉난방을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국내 환경에서는 개방형 지열시스템보다 밀폐형 지열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회로형식 | 시스템 종류 | 열원 |
---|---|---|
개방형 지열시스템 | ① 우물정 시스템 (Open loop system) ② 수직심정형 시스템 (Standing column well system) |
천부지열, 지하수, 해수 및 지표수이용 |
밀폐형 지열시스템 | ① 수직폐회로 시스템 (Vertical-closed loop system) ② 수평폐회로 시스템 (Horizontal-closed loop system) ③ 수정폐회로 또는 폐회로 물순환 시스템 (Modified closed water loop system) |
천부지열, 지하수 및 지표수 이용 |
복합형 지열펌프시스템 | 기존의 냉각탑 또는 보일러와 연계시킨 지열펌프 시스템, 경우에 따라 개회로 및 폐회로를 사용함 |
천부지열, 지하수, 기존의 냉난방시설이용 |
땅속에 100m 이상을 천공하고 HDPE를 천공된 공 내부에 삽입 후 내부에 유체를 통하여 땅속의 열과 유체가 열교환을 합니다. 삽입되는 파이프는 누설 또는 부식등의 문제가 없어야 하며, 50년이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지열시스템의 작동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입니다.
지중의 열을 흡수하거나 실내의 열을 방출하여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냉난방할수 있도록 하는 지열시스템의 핵심장비입니다. 팽창밸브, 열교환기, 압축기, 4방 밸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열시스템의 운전 및 이상을 판단하고 지열시스템의 동작을 관리함은 물론 계측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분석하여 시스템 상태를 파악하도록 합니다.
구분 | 냉방 | 난방 | 성능 (COP) |
---|---|---|---|
에어컨 | ![]() |
- | 2.5 |
공기열원 히트펌프 | ![]() |
![]() |
여름 : 2.5 겨울 : 1.5 |
지열원 히트펌프 | ![]() |
![]() |
여름 : 4.0 겨울 : 3.5 |
냉방: 여름철 외부의 온도로 높아진 실내 온도를 흡수하여 지중열교환기로 순환하여 열을 방출한다.
난방: 겨울에 외부의 온도로 차가워진 실내온도를 지중의 열을 흡수하여 지중열교환기로 순환파여 실내 난방을 한다.
지중열교환기
150m x 34개
구분 | 건축물 | 지중열교환기 | 비율 |
---|---|---|---|
연면적 (㎡) | 3,300 | 1,224 | 37% |
부피 (㎡) | 9,900 | 183,600 | 1,850% |
건물체적의 약 20배 상당하는 지중열교환기 필요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경제성
지열 냉난방과 지열 발전 비교
특징 | 수직으로 150~200m의 지중열교환기를 설치하고 PE파이프 내의 유체순환을 통해 흡열 및 방열 | 지하 4,000~5,000m 깊이를 수직천공하고 물을 투입하여 지층을 파쇄하고 고온의 증기를 얻어내 지상의 발전소에서 전기생산 |
---|---|---|
생산방식 | 연중 일정한 온도 (평균 15°C)인 땅속과 열교환만 하는 간접 | 지중 심부의 고온 (100°C 이상)을 추출하는 직접 이용방식 |
적용범위 | 한국지질지형 모든 곳 적용가능 | 지질조건에 대한 정밀 조사가 선행되어야 함 |
시장현황 | 국내 연간 200건, 해외 연간 100,000건 이상 시장확대 중 | 북유럽화산지대 등 화산지층에서 활용하나 환경문제로 감소 중 |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장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