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지엔원에너지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연료전지란?
자료 : 포스코에너지,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구분 | 장치 | 내용 |
---|---|---|
발전부 | 연료처리 장치 | 도시가스에 포함된 수소를 분리해 내는 장치 |
연료전지 스택 |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핵심불품 | |
전력변환기 | 연료전지의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바꾸어 주는 장치 | |
열 회수부 | 폐열회수부치 | 도시가스에 포함된 수소를 분리해 내는 장치 |
연료전지 스택 |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핵심불품 |
구분 | 알칼리 (AFC) |
인산형 (PAFC) |
융융탄산염형 (MCFC) |
고체산화물형 (SOFC) |
고분자전해질형 (PEMFC) |
직접매탄올 (DMFC) |
---|---|---|---|---|---|---|
전해질 | 알카리 | 인산염 | 탄산염 | 세라믹 | 이온교환막 | 이온교환막 |
동작온도 (℃) | 120 이하 | 250 이하 | 700 이하 | 1,200 이하 | 100 이하 | 100 이하 |
효율 (%) | 85 | 70 | 80 | 85 | 75 | 40 |
용도 | 우주발사체 전원 | 중형건물 (200kW) | 중·대형건물 (100kW~MW) |
소·중·대용량발전 (1kW~MW) |
가정·상업용 (1~10kW) |
소형 이동 (1kW 이하) |
특징 | - | CO 내구성큼 열병합대응 가능 |
발전효율 높음 내부개질 가능 열병합대응 가능 |
발전효율 높음 내부개질 가능 복합발전 가능 |
저온작동 고출력밀도 |
저온작동 고출력밀도 |
자료: 에너지관리공단, 메리츠종금증권 리서치센터
주택용
건물용
사용연료 | 도시가스 | 도시가스 | 도시가스 | 도시가스 |
---|---|---|---|---|
크기(mm) | 500 x 400 x 900 (W x D x H) | 500 x 700 x 1,550 (W x D x H) | 1,400 x 650 x 1,520 (W x D x H) | 1,500 x 1,600 x 1,520 (W x D x H) |
가스소비량(Nm3) | 0.16(Normal 0℃) 0.18(Standard 25℃) |
0.26(Normal 0℃) 0.28(Standard 25℃) |
0.3 (Normal 0℃) 1.5(Standard 25℃) |
2.6(Normal 0℃) 2.8(Standard 25℃) |
발전/열효율(%_LHV) | 35/50 | 35.2/ 51.67 | 36.6 / 49.1 | 37.8 / 52.2 |
AC 220v, 단상 2선식 | AC 220v, 단상 2선식 | AC 220v, 단상 2선식 | AC 220v, 단상 2선식 | AC 380v, 3상 4선식 |
축열조 용량(L) | - | 125 | 220 | 450 |
전기
연료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는 한국전력과계통연계가 되며,
건물의 기저부하로 사용, 한전 전기와 병행하여 사용하여 전기요금이 절약되고,
부족한 경우는 한전 grid전기를 더 가져와 사용함.
열
연료전지에는 생산되는 열은 건물의 급탕을 가열하여 보일러로 유입,
배출되어 급탕 사용처(화장실, 식당 등)로 공급하여 열요금을 절약함.